[시리즈 #6] 시진핑의 카드 – 미국과의 패권 전쟁, 뭐가 통할까?
트럼프의 목표는 ‘이기는 것’이 아니다.
‘중국이 못 끼는 질서’를 만드는 것이다
🟥 카드 #1: 희토류 통제 – 승산 55%
• 🌍 중국은 여전히 세계 희토류 생산의 약 70% 이상을 차지.
• ✅ 단기적 수출 제한 시, 특정 미국 산업(방산, EV, 반도체) 타격 가능.
• ⚠️ 그러나 미국은 이미 호주·캐나다와 공급망 협약 체결 중 → 중장기 무력화 가능성
📊 중단기 충격력은 있으나, 지속 가능성 제한 → 55%
⸻
🟥 카드 #2: 디지털 위안화 – 승산 40%
• 🏦 200개 도시에서 CBDC 실험, BRI 참가국 일부와 블록체인 결제 실험 진행.
• ❌ 하지만 SWIFT·USDT 대비 채택률 낮고 자본 통제 이미지가 투자자 신뢰에 악영향.
📊 자체 시스템은 갖췄지만, 글로벌 도달력 부족 → 40%
⸻
🟥 카드 #3: Belt & Road + 온체인 자산 – 승산 35%
• 🛣️ 150개국과 협약 체결, 일부 국가는 중국 디지털채권 수용 실험 중.
• ⚠️ 그러나 부채 외교 논란, 채무불이행 등 정치 리스크 존재.
• 🌐 온체인 자산 연동은 아직 극히 초기 단계.
📊 글로벌 수용도는 낮지만 시도는 유효 → 35%
⸻
🟥 카드 #4: 미국 기업 규제 – 승산 60%
• 📱 중국 내 Apple 공공기관 사용 금지령, Tesla·Micron 견제 이미 현실화.
• 🧨 중국 소비시장 영향력이 크기 때문에 미국 기업에 타격 실제 발생.
📊 비공식 제재 방식이 빠르고 효과적 → 60%
⸻
🟥 카드 #5: 반도체/AI 자립 – 승산 20%
• 🧠 자체 AI 칩 개발 시도 있으나, TSMC/Nvidia 대비 3~5년 이상 기술 격차.
• ❌ 공급망 제한, 리소스 부족으로 단기 효과 거의 없음.
📊 전략적으론 필수지만 아직 실효성 낮음 → 20%
⸻
🟥 카드 #6: 중국식 RWA 시스템 – 승산 25%
• 🔒 자체 블록체인 인프라 구축 중 (AntChain, BSN 등)
• ⚠️ 하지만 투명성/검열 우려로 외자 유치 취약
📊 미국식 RWA 시스템에 비해 신뢰도 낮음 → 25%
⸻
🟥 카드 #7: 대만 압박/침공 – 승산 30%
• 💣 전면전 시 군사력으로 압박은 가능하나
• 🌐 미국·동맹 개입 + 글로벌 자산 붕괴 → 중국 피해가 더 큼
📊 파급력 크지만 극단 시나리오, 실익 적음 → 30%
⸻
🟥 카드 #8: 남중국해 장악 – 승산 50%
• 🌊 인공섬 군사화 진행 중, 동남아·필리핀 갈등 중
• ⚖️ 국제법 무시 논란 있지만, ‘기정사실화’ 전략 유효
📊 전면 충돌은 없지만 서서히 영향력 확대 가능 → 50%
⸻
🟥 카드 #9: 공급망 무기화 – 승산 45%
• 🔋 태양광, 배터리, 희토류 다수 분야 중국 의존도 높음
• ❌ 하지만 기업들 이미 탈중국 중 → ‘공급 리스크’를 반대로 인식
📊 쓸 수는 있으나, 자해 효과와 장기 리스크 존재 → 45%
⸻
🟥 카드 #10: 국제기구 영향력 확대 – 승산 40%
• 📊 WHO, UN 등 다자 기구에서 중국 입김 확대
• ❌ 하지만 글로벌 규칙 바꾸기엔 한계, ‘견제 대상’ 이미지 강함
📊 ‘정책 설계자’가 아니라 ‘플레이어’ 위치 → 40%
⸻
🟥 카드 #11: BRICS 통화 블록 – 승산 30%
• 💵 달러 패권 약화 시도, 공동결제 플랫폼 논의 중
• ❌ 현실은 브라질/인도/러시아 간 이해관계 불일치로 실행력 낮음
📊 비전은 있으나 실행력 부족 → 30%
⸻
🟥 카드 #12: 외자 청산 제한 – 승산 45%
• 💼 외국 자산 송금 제한, 투자 지연 가능
• ⚠️ 하지만 글로벌 신뢰 하락과 외자 유출 가속 우려
📊 강한 압박력 있지만 장기 신뢰 훼손 크다 → 45%
⸻
🟥 카드 #13: 중국식 블록체인 생태계 – 승산 25%
• 📡 BSN 등 검열형 블록체인, 기업에 B2B 제공 중
• ❌ 퍼블릭 체인과 상호 연결성 낮고, 외부 유입 거의 없음
📊 국내용 성공, 글로벌 채택력은 낮음 → 25%
⸻
🟥 카드 #14: 미국 국채 매도 (달러던지기) – 승산 35%
• 💸 중국은 미국 국채 최대 보유국 중 하나였으나,
2022년 이후 꾸준히 보유량 축소 (2024년 기준 약 7700억 달러 수준)
• 📉 대량 매도 시 미국 금리에 일시적 충격 가능 (→ 자산 시장 변동성 증가)
• ❌ 하지만 미국 채권 시장의 깊이와 흡수력이 워낙 커서
중국 단독 행동만으론 제한적 영향
📊 지렛대 효과는 있으나 실효성 낮고, 역풍 우려 존재 → 35%
⸻
🟥 카드 #15: 금 매입 통한 자산 독립 강화 – 승산 30%
• 🪙 중국 중앙은행(PBoC), 2022년 이후 18개월 연속 금 매입 중
• 📊 IMF·WGC(세계금협회) 발표 기준,
중국은 2024년 세계에서 금을 가장 많이 사들인 국가 중 하나
• 🇺🇸 달러 의존도 낮추고 준비자산 비율에서 금 비중 확대 전략
• ❌ 하지만 국제 결제수단으로 금이 사용되는 비율은 미미
→ 실제 패권 이동 효과는 제한적
📊 외화 준비자산 다변화 효과는 있으나, 달러 패권 직접 타격은 약함 → 30%
⸻
✅ 시진핑의 전략 카드 요약표 (2025 기준)

🧾 🔚 마지막 결론: “게임은 카드 수가 아니라, 판이 바뀌었는가의 문제다”
• 중국은 강력한 국가 주도형 전략 카드를 많이 보유 중
→ 자원, 생산력, 시장 규모, 내부 통제 능력 모두 강력함
그러나…
지금 싸움은 기술 + 자산 + 자본 + 규칙의 ‘정렬’ 전쟁
여기서 미국은 글로벌 신뢰와 자본 흐름을 정렬하고 있는 중
중국은 ‘대응’ 중심이지만, ‘질서 설계’에서는 아직 뒤처져 있음
⸻
💡 인사이트:
“시진핑이 이기기 어려운 건 카드가 약해서가 아니다.
미국은 지금, 게임의 룰북 자체를 새로 쓰고 있다.”
예고 | 시리즈 #7:
“관세 전쟁 이후 – 어떤 자산이 살아남을까?”
https://x.com/real_nabakgood?s=21
X의 나박님(@real_nabakgood)
CoinAIAI는 AI가 코인을 분석해주는 서비스 입니다. 차트기반 정보 + SNS 지표 정보를 통해 내가 투자한 코인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 기반으로 확인해 보세요!
x.com
CoinAIAI-AI 코인미주 분석
https://coinaiai.com CoinAIAI는 AI가 코인과 미주 분석해주는 서비스 입니다. 차트기반 정보 + SNS 지표 등 각종 정보를 통해 내가 투자한 코인과 미주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 기반으로 확인해 보세요!
t.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