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관련 끄적끄적

[시리즈#7] 관세 전쟁 이후 – 어떤 자산이 살아남을까?

나박입니다 2025. 4. 11. 09:59
반응형
투자자는 지금 ‘자산’을
고르는 게 아니라,
“어느 구조에 자산을 실어 보낼 것인가”를 선택하는 시점에 있다.


트럼프의 칼이 길어질수록,
시장은 방어할 자산을 찾는다

1️⃣ 전 세계는 항복 중, 남은 건 중국뿐이다

🇰🇷 한국:
삼성전자: 미국 텍사스주 테일러시에 170억 달러 규모의 반도체 파운드리 공장 건설 중.
LG전자: 테네시주에 가전제품 공장 운영 중.
LG화학: 미국 미시간주에 전기차 배터리 공장 건설 중.
한화큐셀: 조지아주에 태양광 모듈 공장 운영 중.
CJ제일제당: 캔자스주에 세계 최대 냉동피자 생산공장 구축.
현대차그룹: 조지아주에 연간 30만 대 규모의 전기차 생산 공장(HMGMA) 준공. 향후 50만 대로 증설 계획.
• 🇯🇵 일본:
도요타: 노스캐롤라이나주에 전기차 배터리 공장 신설, 2025년 가동 목표.
• 🇳🇱 네덜란드:
ASML: 현재 미국 내 공장 건설 계획은 없으며, 삼성전자와의 협력을 통해 한국 평택 공장에 EUV 장비 공급 및 협력 강화.
• 🇻🇳 동남아:
• 중국 대신 저가 생산지 역할로 중간기지화 진행 중.
• 하지만 트럼프는 동남아에도 관세를 언급한 바 있어, 기업들은 미국 내 생산으로 전환 중.
• 🇨🇳 중국:
• 여전히 생산기지 중심 유지 중.
• 희토류·배터리·기술자립 카드로 버티고 있음.

🧭 결론:
공급망은 중국 중심에서 미국+우방 중심으로 정렬 중.
→ 단순한 비용 게임이 아닌 무관세+보조금 유도 게임.

2️⃣ 시나리오별 투자 전략


🎯 시나리오 A: 관세 전쟁 성공 (미국 중심 구조 정착)


⚠️ 시나리오 B: 관세 전쟁 실패 (미국 내 인플레이션 + 침체 전개)

3️⃣ 핵심 인사이트:


“공장은 이제 위치가 아닌 전략이다.”
미국에서 만들면 무관세 + 보조금 + 투자 유치 → 자산은 이를 따라간다.

“관세는 경기부양이 아니다. 구조 재편의 신호다.”

투자자는 지금 ‘자산’을 고르는 게 아니라,
“어느 구조에 자산을 실어 보낼 것인가”를 선택하는 시점에 있다.

📌 수익률 추정 근거 정리


🎯 시나리오 A: 관세 전쟁 성공 (리쇼어링 구조 안착)
미국 제조주 (15%): IRA, CHIPS 보조금 기반 성장 기대
산업부동산 (12%): 공장 이전으로 인한 물류 수요 폭발
BTC (10%): 거시 불확실성 대비 자산으로 재평가
금 (8%): 여전히 안전자산 수요 존재, 하지만 실질금리 상승 제한
RWA 채권 (14%): 제도권 자산으로 재편되며 수익+신뢰 모두 확보
현금 (4%): 고금리 구간 유지, 유동성 가치
단기채 (3%): 수익성은 안정적이지만 성장성 부족
원자재 ETF (6%): 경기 회복 기반 수요 반등

️ 시나리오 B: 관세 전쟁 실패 (침체 시나리오)
BTC (20%): 시스템 해지 자산으로 강한 반등 예상
금 (15%): 실물 기반 리스크 회피처
원자재 ETF (12%): 공급망 충격 → 물가 급등 가능성
단기채 (7%): 침체 방어용 수단으로 강세
현금 (6%): 기회 포착 + 고금리 유지
RWA (5%): 온체인 신뢰 기반 자산, 법적 수용성 확보 시 반등
제조주 (-10%), 부동산 (-8%): 고금리 + 소비위축으로 가장 타격 큼

* BTC는 오르든 내리든 흐름 속에 서사가 있다는 게 핵심.
성공하면 제도권 편입, 실패하면 시스템 회피처. 이중성 자체가 프리미엄이 되는 자산!

https://x.com/real_nabakgood?s=21

X의 나박님(@real_nabakgood)

데이터 인증 회사에 다니는 개발자 + 최근엔 AI개발 공부 중입니다. 제가 만든 CoinAIAI는 AI가 코인과 나스닥을 분석해주는 서비스 입니다. 차트기반 정보 + SNS 데이터 + 뉴스 데이터를 통해 경제흐

x.com


https://t.me/coinaiai_report

CoinAIAI-AI 코인미주 분석

https://coinaiai.com CoinAIAI는 AI가 코인과 미주 분석해주는 서비스 입니다. 차트기반 정보 + SNS 지표 등 각종 정보를 통해 내가 투자한 코인과 미주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 기반으로 확인해 보세요!

t.me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