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관련 끄적끄적
[시리즈 #14] 인플레이션 끝나지 않은 게임 – 원자재 슈퍼사이클의 부활?
나박입니다
2025. 4. 19. 22:54
반응형
"파월은 동결했고, 트럼프는 관세를 걸었다. 그 사이, 원자재는 다시 꿈틀댄다."
🌍 글로벌 인플레, 다시 움직인다
2025년 4월, 미국과 중국 간 관세 전쟁이 격화되며 원자재 가격이 일제히 반등하고 있다. 특히 구리, 철광석, 알루미늄, 석유 등은 팬데믹 이후 두 번째 급등 흐름에 진입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 최근 상승 배경:
- 🇺🇸 미국: 트럼프 2기, 모든 중국산 제품에 10% 관세 부과 (2025.4)
- 철강 및 알루미늄에는 25%의 고율 관세 부과 확대
- 🇨🇳 중국: 수출 통제와 희토류 카드 시사
- 첨단소재 공급 제한 가능성, 반도체 관련 원자재 규제 강화 움직임
- 🛢️ 사우디·러시아: 감산 유지로 유가 $90대 복귀
- 국제유가 상승세, WTI 기준 배럴당 $92 선 돌파 (2025.4 기준)
→ 공급 충격 + 무역 마찰 + 에너지 제한 = 인플레 2차 충격
📈 원자재 슈퍼사이클 시나리오
원자재 시장은 과거에도 몇 차례 "슈퍼사이클"을 겪었다. 이번 흐름은 과거와 달리 지정학 리스크, 기후전환 투자, 탈세계화 공급망 재편이 결합되어 발생하는 복합적 구조다.
연도주요 원인대표 원자재 가격 흐름
🔍 이번 사이클은 단기 트레이드가 아닌, 정책·기후·전략 자원 축적의 결과일 가능성 있음.
- 구리: 전기차·전력망 수요 증가로 장기 상승 흐름 지속 (2025.4 기준 톤당 $9,800)
- 리튬·코발트: 배터리 소재 수요 확대, 공급 병목 여전
- 우라늄: 원전 에너지 전환 수요로 급등세 (2025년 3월 기준 $95/lb)
🧭 인사이트: 어떤 자산이 움직이나?
💡 크립토도 영향: 실물 기반 토큰화 프로젝트(RWA)와 커머디티 연동 스테이블코인 관심 증가 중
- 예: 온체인 커머디티 거래소(RWA 기반 DAO), 금/석유/구리 토큰화 프로젝트 등장
- 실물자산 수요를 블록체인 기반 자산으로 대체하려는 흐름 확대 중
🧨 결론: 인플레는 끝나지 않았다
- 단기적 금리 동결에도, 공급 측 인플레 압력은 상승 중
- 원자재는 이제 다시 글로벌 권력 게임의 중심축
- 연준이 주목하는 건 수요가 아니라 공급 충격이 만들어내는 구조적 인플레
- 구리는 단순 산업재가 아닌 "신냉전 시대의 지정학 자산"이 되고 있다
"슈퍼사이클은 차트를 뚫고 나올 때 시작된다."
https://x.com/real_nabakgood?s=21
CoinAIAI-AI 코인미주 분석
CoinAIAI는 AI가 코인과 미주 분석해주는 서비스 입니다. 차트기반 정보 + SNS 지표 등 각종 정보를 통해 내가 투자한 코인과 미주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 기반으로 확인해 보세요!
t.me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