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인사이트(6)
-
[시리즈 #8] 리더는 이미 움직였다 – 블랙록은 어디에 베팅했나?
“ETF 승인은 단지 입구일 뿐이다.”리테일이 고민할 때, 기관은 구조를 바꿨다. 1️⃣ 블랙록의 포트폴리오 변화 – "60/40은 끝났다"📌 래리 핑크(블랙록 CEO)는 2024년 중반부터 공식적으로 제안한다:“60/40 포트폴리오는 낡았다. 새로운 전략은 50/30/20이다.”50% 주식 + 30% 채권 + 20% 사모자산이 20%가 핵심이다. 리테일은 접근하기 어려운 → 프라이빗 크레딧, RWA, 인프라 자산으로 채운다.📊 실제로 블랙록은 최근 6개월간 대형 고객들에게사모 부채·RWA 구조화 상품을 집중 추천하고 있다. 💬 인사이트:이제 중요한 건 "어떤 종목이냐"가 아니라"어떤 구조로 투자됐느냐"다.ETF는 입구, 기관은 이미 그 안쪽에서 구조를 바꿨다. 2️⃣ 피델리티 – 동양에서 채권을..
2025.04.12 -
[시리즈 #4] – SEC 체제 변화, 크립토 시장은 구조적으로 바뀐다
규제는 시장을 막는 게 아니라, 시장을 정의한다새로운 규제 프레임 아래, 크립토의 무게중심이 이동 중이다.⸻✅ 1. SEC가 바뀌면 시장의 “리스크 프레임”이 바뀐다• 🇺🇸 폴 앳킨스, 자유시장 성향의 SEC 의장 후보• 클로처 투표 → 한국시간 4월 10일 0시 30분• 최종 인준 투표 → 같은 날 오전 8시폴 앳킨스는 자유시장주의자이자, SEC의 규제 완화 흐름을 대표하는 인물이다.그가 SEC 의장으로 임명된다면, 가장 먼저 바뀌는 건 바로 **‘규제 리스크 프레임’**이다.과거 SEC의 시선은 이랬다:• “디지털 증권 → 무허가 판매 → 집행 조치”• “소비자 보호 미비 → 기초 자산 불명확 → 거래소 단속”하지만 폴 앳킨스 체제에선 질문이 바뀐다:• “Web3는 새로운 금융 인프라다. SEC는..
2025.04.09 -
[번외편] 워런 버핏의 매도/매수 타이밍은 시장의 거울인가?
Be fearful when others are greedy, and greedy when others are fearful – Warren Buffett⸻1️⃣ 2008 금융위기 – 공포 속 매수• 🔻 매도: 2007~2008 일부 금융/에너지주 정리• ✅ 매수:• Goldman Sachs (GS) – ~$5B• General Electric (GE) – ~$3B→ 금융위기 직후 바닥 근처 매수, 이후 랠리 선도⸻2️⃣ 2011~2018 – 기술주 실험과 철수• ✅ 매수: IBM – ~$10B (2011 Q3)• 🔻 매도: 2018년 완전 철수→ IBM의 실적 부진 & 전통 IT의 한계 노출→ 반면 나스닥은 빅테크 중심으로 고속 성장⸻3️⃣ 2016~2024 – 애플과 함께한 시대• ✅ 매수: Ap..
2025.04.09 -
[시리즈 #3] 관세 vs 보조금 – 글로벌 산업 판 짜기 다시 시작된다
이제는 무역 전쟁이 아니라, 패권산업 정렬전쟁이다⸻1️⃣ 2018년의 관세, 2025년의 보조금• 2018~2019: 트럼프의 무역전쟁 = 관세 공격• 중국산 제품에 25% 관세 → 공급망 재편 압박• 2025: 다시 등장한 트럼프 흐름→ 이번엔 채찍 대신 당근→ IRA, CHIPS Act, 보조금 → 공장 유치 + 기술 주도권 확보예전엔 ‘상대를 제재’, 지금은 ‘자기편을 강화’⸻2️⃣ 보조금이 바꿔놓은 산업 판 • IRA(인플레이션 감축법)• 전기차 배터리/부품, 북미 생산 조건 시 최대 $7,500 세액공제 • CHIPS Act• 반도체 공장 짓는 기업에 직접 보조금 + 세제혜택• 한국·일본·EU도 뒤따라 인센티브 경쟁 돌입“관세가 끝났다고 안심할 게 아니다.보조금이 더 무섭고, 더 정교하다.”⸻3..
2025.04.09 -
나스닥 거래량 18년 만에 폭발 – 무슨 의미일까?
단순한 숫자가 아니다. 시장 심리의 대전환 신호다 1️⃣ 무슨 일이 있었나?2025년 4월 5일~7일 사이미국 주식시장에서 무려 293억 주가 거래됨→ 2007년 이후 ‘최고치’ 거래량→ 특히 나스닥 종목 중심으로 거래가 몰렸고,기술주 / 반도체 / AI 테마에 집중된 흐름평소 거래량 대비 1.5~2배 이상 급증→ 시장 참여자가 ‘각성’하거나 ‘불안’할 때 나오는 수치⸻2️⃣ 과거 사례와 비교해보면?과거 2008, 2020, 2022 시기 참고공통점: 거래량 폭증은 “심리 변곡점”→ 이후는 공포가 끝나거나, 기대가 시작되거나3️⃣ 지금은 어떤 시점일까?✅ 하락 중 거래량 폭발→ 이건 “던지는 사람”도 있지만,→ 동시에 “받아먹는 사람”도 있다는 뜻✅ ETF 승인, 반감기, AI 관련 실적 앞둔 시점→ “..
2025.04.08 -
[시리즈 #2] Transition Chasm – 본격 AI/로봇 시대, 생산성이 바뀐다
지금은 기계가 사람을 대체하기 직전, 산업 패러다임이 갈라지는 지점이다⸻1️⃣ Transition Chasm이란?“기술은 준비됐는데, 기업은 아직 바뀌지 않은 시점”그걸 Transition Chasm, 생산성 단층선이라고 부른다.• AI와 로봇이 충분히 실전 배치될 수준이 됐음• 하지만 대부분의 기업은 여전히 사람 중심의 공정에 의존→ 그 사이의 ‘틈’이 바로 이익률 재편 구간⸻2️⃣ 과거에도 이런 ‘단층선’은 있었다예시: 제임스 와트의 증기기관• 동력 기반이 수력 → 증기로 바뀔 때,→ 공장이 농촌에서 도시로 옮겨갔다핵심 포인트:생산의 방식이 바뀌면, 산업의 중심지도 바뀐다.⸻3️⃣ 지금은 어떤 산업이 재편되나?• 미국 평균 제조업 인건비: $25• 중국: $5• 베트남/멕시코: $2~3• 로봇 도입 ..
2025.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