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집] 이더리움 스테이킹 ETF – 언제 가능할까? 왜 중요한가!
2025. 4. 21. 22:21ㆍ경제관련 끄적끄적
반응형
"이더리움을 직접 들고 있지 않아도, 스테이킹 보상을 받을 수 있다면?"
📌 이더리움 스테이킹 ETF란?
이더리움 스테이킹 ETF는 투자자가 직접 이더리움을 보유하거나 지갑을 설정하지 않고도, ETF를 통해 스테이킹 보상(연 3~4%)을 받을 수 있게 해주는 금융 상품이다.
기존 이더리움 ETF(현물 ETF)는 단순히 ETH 가격에 연동된 투자지만, 스테이킹 ETF는 네트워크 검증 참여에 따른 보상까지 포함한다는 점에서 '수익형 ETF'로 주목받는다.
🌎 각국 상황 요약
🇺🇸 미국 – 도입의 난항
- 2024년 말 현물 ETF는 승인됐지만, 스테이킹은 제외
- SEC는 스테이킹을 ‘미등록 증권’ 제공 가능성으로 간주
- 피델리티·프랭클린 등 자산운용사들, 스테이킹 포함 ETF 신청서 제출함
- 📅 블룸버그 애널리스트 전망: 2025년 5~10월 사이 승인 가능성
🇭🇰 홍콩 – 아시아 최초 스테이킹 ETF 출격
- 2025년 4월, 홍콩 SFC가 스테이킹 기능 포함 ETF 승인
- ChinaAMC, Huaxia 등 5월 15일 ETF 출시 예정
- 홍콩은 디지털자산 허브 전략의 일환으로 해당 상품을 선도 중
🇨🇦 캐나다 – 이미 운용 중
- 3iQ, Purpose Investments 등은 스테이킹 ETF를 이미 출시해 운영 중
- 규제 환경이 우호적이며, 투자자에게도 인지도가 높음
✅ 장단점 요약
항목설명
✅ 장점 | 연 3~4% 스테이킹 수익 / 자산운용사가 보안 관리 / 디파이 접근 불필요 |
❌ 단점 | 유동성 제한 가능 / 규제 불확실성 (특히 미국) |
🔮 언제 가능할까? (미국 기준)
- 가장 빠르면 2025년 5월, SEC가 일부 신청서에 대한 검토를 재개할 것으로 예상됨
- 최종 승인 시점은 2025년 10월까지도 연기 가능성 있음
- 다만, 홍콩의 빠른 실행과 캐나다의 성공적인 운영은 미국 규제당국에도 압력이 되고 있음
🧭 결론
- 스테이킹 ETF는 단순한 가격 추적 상품을 넘어서, 네트워크 참여 수익을 가져다주는 구조적 진화
- 향후 디지털자산 기반 RWA, DAO 상품과도 결합되며 크립토 ETF의 새 표준이 될 수 있음
- 미국의 허용 여부가 글로벌 확산의 전환점이 될 것
“현물 ETF는 문을 열었고, 스테이킹 ETF는 이제 수익 구조를 설계 중이다.”
https://x.com/real_nabakgood?s=21
X의 나박님(@real_nabakgood)
데이터 인증 회사에 다니는 개발자 + 최근엔 AI개발 공부 중입니다. 제가 만든 CoinAIAI는 AI가 코인과 나스닥을 분석해주는 서비스 입니다. 차트기반 정보 + SNS 데이터 + 뉴스 데이터를 통해 경제흐
x.com
CoinAIAI-AI 코인미주 분석
CoinAIAI는 AI가 코인과 미주 분석해주는 서비스 입니다. 차트기반 정보 + SNS 지표 등 각종 정보를 통해 내가 투자한 코인과 미주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 기반으로 확인해 보세요!
t.me
반응형
'경제관련 끄적끄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지털 달러 시대의 그림자 경제〉 - 익명성의 종말과 결제 메타 코인의 기회 (3) | 2025.04.26 |
---|---|
이더리움 스테이킹 ETF 2025년 5월 조기 승인 전망 (4) | 2025.04.24 |
[시리즈 #14] 인플레이션 끝나지 않은 게임 – 원자재 슈퍼사이클의 부활? (1) | 2025.04.19 |
[시리즈 #13] 파월은 왜 금리를 내리지 않는가 – 인플레, 정치, 그리고 시장의 시간차 (2) | 2025.04.18 |
[시리즈 #12] “달러를 둘러싼 이중 전략 – 트럼프는 약달러를 말하고, 베센트는 강달러를 설계한다” (2) | 2025.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