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4. 24. 11:33ㆍ경제관련 끄적끄적
개요 : 이더리움 스테이킹 ETF와 조기 승인 문제
이더리움 스테이킹 ETF란 기존의 이더리움 현물 ETF에 스테이킹 기능을 더해, 보유한 이더리움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예치하고 이자로 보상을 얻는 구조의 ETF를 말합니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이러한 이더리움 스테이킹 ETF를 2025년 5월에 조기 승인할 가능성에 대해 업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이는 통상적인 승인 심사 기간(최대 240일 등)보다 앞당겨 승인될 수 있느냐는 뜻입니다. 아래에서는 최근 이더리움 현물 ETF의 신속 승인 사례, 주요 인사 교체에 따른 규제 기조 변화, 블랙록(BlackRock)과 래리 핑크의 행보, SEC 내부 분위기, 그리고 전문가들의 견해를 바탕으로 이러한 조기 승인 가능성을 분석합니다.
이더리움 현물 ETF 신속 승인 사례와 그 유사성
최근 이더리움 현물 ETF 승인 과정에서 예상보다 빠른 진행이 이루어진 사례가 있었습니다. 2024년 상반기까지만 해도 이더리움 ETF 승인에 회의적 분위기가 있었지만, 5월 말 SEC가 갑자기 움직이기 시작하여 5월 23일에 핵심 신청을 승인함으로써 길었던 승인 프로세스에 돌파구를 마련했습니다 . 결국 2024년 7월에는 미국 최초의 현물 이더리움 ETF들이 최종 승인되어 거래를 시작하게 되었는데, 이는 1월 비트코인 ETF 승인 이후 불과 몇 달 만의 일로 SEC 정책의 급변을 보여준 사례였습니다  .
특히 2025년 1월에는 **비트와이즈(Bitwise)**가 신청한 비트코인-이더리움 복합 ETF가 불과 45일 만에 신속 승인되는 이례적인 일이 있었습니다 . SEC는 1월 30일 자로 NYSE Arca의 규칙 변경 신청(19b-4)을 조기 승인하여 비트와이즈의 ETF가 상장될 수 있도록 했는데, 표준 심사 기간 240일을 건너뛰고 45일 만에 승인한 것입니다 . SEC는 “이미 승인된 현물 암호화폐 ETF들과 유사성이 있다”는 이유로 이러한 가속 심사를 정당화했다고 밝혔습니다 . 블룸버그 ETF 분석가 제임스 세이프파트(James Seyffart)와 에릭 발츄나스(Eric Balchunas)도 이같은 속전속결 승인은 이전 유사 사례들에 비추어 예견된 것이라고 평가했으며, 발츄나스는 “표준 240일 대신 45일만에 이루어진 비정상적으로 빠른 승인”이라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 이러한 선례들은 이더리움 스테이킹 ETF 역시 한번 정책 결정만 내려지면 예상보다 빨리 승인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주요 인사 변동: 베센트 재무장관과 앳킨슨 SEC 의장의 영향
2025년 초 미국 행정부와 금융 규제기관의 핵심 인사들이 교체되면서 규제 기조 변화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졌습니다. 우선, 재무장관으로 새로 취임한 **스콧 베센트(Scott Bessent)**는 저명한 헤지펀드 매니저 출신으로 친(親)암호자산 성향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베센트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의 암호화폐 친화적 기조에 공감하며 미국을 글로벌 암호자산 중심지로 탈바꿈시키겠다는 비전을 공유하고 있습니다 . 그는 취임 청문회에서 압도적 지지(68-29 표결)를 받았고, 취임 후 기존 투자들을 정리하며 이해 충돌 방지에 나서는 등 본격적으로 정책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 과거 재닛 옐런 장관이 비트코인을 “비효율적”이라 칭하고 엄격한 규제를 주장했던 것과 달리, 베센트 장관의 등장은 규제 환경이 우호적으로 바뀔 가능성을 크게 높였습니다  . 실제로 옐런 재임 시절 은행들의 암호화폐 기업 거래를 압박한 ‘Operation Chokepoint 2.0’ 같은 움직임에 업계가 위축되었는데, 베센트는 이러한 장벽을 제거하고 혁신을 장려하겠다는 입장입니다  . 재무부 수장의 친암호화폐 기조는 SEC 등의 규제기관에도 전반적인 분위기 변화를 유도할 수 있는 요인입니다.
한편, SEC 수장으로는 2025년 4월 **폴 앳킨슨(Paul Atkins)**이 위원장에 취임했습니다. 앳킨슨 위원장은 2000년대 SEC 위원을 지낸 인물로, 암호화폐에 우호적인 시각을 갖고 있는 것으로 평가됩니다. 2025년 4월 21일 공식 취임한 그는 트럼프 대통령의 지명과 상원 인준(52-44 표결)을 거쳐 SEC의 34대 위원장이 되었습니다 . “강경 집행” 위주의 전임 게리 겐슬러(Gary Gensler)와는 대조적으로, 앳킨슨은 규제 명확화와 혁신 친화적 접근을 강조하고 있어 암호화폐 업계의 큰 기대를 받고 있습니다  . 실제로 앳킨슨 본인은 블록체인 스타트업 자문과 크립토 로비 단체(Token Alliance) 공동의장 등을 역임하며 디지털 자산 분야 경험을 쌓았고, 수백만 달러 규모의 암호화폐 관련 투자를 보유할 정도로 업계와 인연이 깊습니다 . 이러한 배경 덕분에 그의 취임은 규제 방향의 전환점으로 여겨집니다.
SEC 내부에서도 이미 분위기 변화가 감지되었습니다. 겐슬러 위원장이 2025년 1월 퇴임한 후, 대행체제로 SEC를 이끈 헤스터 피어스(Hester Peirce) 위원과 우예다(Mark Uyeda) 대행위원장은 그동안 진행되던 암호화폐 기업들에 대한 몇몇 고강도 제재 조치를 일단 보류하고, 업계와 대화를 위한 **암호화폐 태스크포스(Crypto Task Force)**를 구성하는 등 유화책을 펼쳤습니다 . 이는 규제 일변도였던 SEC 태도가 완화되기 시작한 신호로 해석됩니다. 앳킨슨 신임 위원장은 이 같은 노력을 이어받아 디지털 자산에 대한 “합리적이고 일관된 접근”을 다짐했으며, 업계도 이를 환영하는 분위기입니다  . 특히 그가 부임하면서 SEC 앞에는 솔라나(SOL), XRP, 도지코인, 심지어 밈토큰(MELANIA)에 이르는 70여 건의 암호화폐 ETF 신청서가 산적해 있는데, 블룸버그의 에릭 발츄나스는 2025년을 “엄청난 한 해(wild)”가 될 것이라 표현하며 수많은 승인 결정이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 요컨대, 친암호화폐 성향의 핵심 인사 교체는 규제 환경을 완화시키고 암호화폐 관련 ETF 승인 가능성을 높여주는 긍정적 요소입니다.
블랙록의 행보와 래리 핑크의 발언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BlackRock)**은 암호화폐 ETF 분야의 게임 체인저로 통합니다. 2023년 블랙록이 비트코인 현물 ETF 신청을 주도한 이후 시장의 분위기가 급반전했고, 결국 2024년 1월 미국 최초의 비트코인 현물 ETF 승인까지 이루어졌습니다. 블랙록은 이더리움 ETF에도 참여하여 iShares Ethereum Trust 등을 통해 2024년 중 현물 ETH ETF 시장에 진입했으며, 이러한 주류 금융사의 가세가 규제 승인에 결정적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됩니다  .
현재 블랙록을 비롯한 자산운용사들은 이더리움 ETF의 수익률 향상을 위해 스테이킹 도입을 강하게 원하고 있습니다. 블랙록 디지털자산 부문 총괄인 **로비 미치닉(Robbie Mitchnick)**은 2025년 3월 한 업계 행사에서 “스테이킹 수익률은 이 분야 투자 수익의 중요한 부분”이라며, 스테이킹이 포함되지 않은 이더리움 ETF는 “완전하지 못한(less perfect)” 상품이라고 지적했습니다 . 그는 이더리움 ETF 출시 당시 어떤 제품도 스테이킹을 도입하지 못했던 것을 언급하며, ETF에 스테이킹을 추가하는 것이 투자매력 측면에서 큰 개선 기회라고 강조했습니다  . 다만 미치닉은 스테이킹 기능을 규제 승인을 받아 ETF에 적용하는 것이 “행정부가 초록불을 켠다고 곧장 ‘붐’ 하고 되는 간단한 일이 아니다”라며 실무적 복잡성을 언급하기도 했습니다 . 이는 규제 승인뿐 아니라 기술적·운영적 준비도 필요하다는 뜻으로, 블랙록처럼 경험 많고 자본력 있는 운용사가 적극적으로 나서 해결할 과제로 볼 수 있습니다.
블랙록의 CEO인 래리 핑크(Larry Fink) 역시 최근 몇 년간 암호화폐에 대한 입장을 긍정적으로 선회한 인물입니다. 한때 회의적인 발언도 있었으나, 2023년 이후 그는 “암호자산은 투자의 새로운 기회”, **“토큰화가 금융 시장의 미래”**라는 등 우호적인 견해를 잇따라 내놓았습니다. 핑크가 이끄는 블랙록은 비트코인 ETF에 이어 이더리움 ETF까지 시장을 열었고, 기관 자금 유입의 물꼬를 텄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그의 이러한 행보는 SEC 등 규제당국에도 심리적 압박으로 작용해, 암호화폐를 제도권으로 포섭하는 결정을 촉진하는 측면이 있습니다. 실제로 2024년 5월 SEC가 이더리움 ETF 승인을 전격적으로 허용할 당시, 나스닥·CBOE·NYSE 등의 상장 신청을 일괄 승인하며 업계를 놀라게 했는데 , 이 대열에는 블랙록을 비롯한 9개사가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 결국 래리 핑크와 블랙록의 적극적인 참여는 규제기관에 신뢰를 심어주고, 신규 ETF(예: 스테이킹 ETF)에 대한 승인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으로 볼 수 있습니다.
향후 블랙록이 직접 이더리움 스테이킹 ETF를 신규 제출할 가능성도 거론됩니다. 다만 굳이 별도의 ETF를 내지 않더라도, 현재 운용 중인 이더리움 현물 ETF에 스테이킹 기능을 추가하는 형태로 운영 방식을 바꾸는 편이 더 현실적입니다. 블랙록을 포함한 ETF 업계는 이미 2025년 초부터 SEC에 **“ETF에서의 스테이킹 허용”**을 공식 요청하고 있으며  , SEC가 이를 승인하기만 하면 신속하게 상품 설계를 변경하여 투자자들에게 이더리움 스테이킹 수익을 돌려줄 준비가 되어 있다는 입장입니다. 결국 블랙록의 의지와 래리 핑크의 긍정적 시각은, SEC가 스테이킹 ETF를 조기에 승인하도록 압력을 높이는 요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
SEC 내부 분위기 및 규제 정책 방향 변화
앞서 언급한 인사 교체와 대형 운용사 참여로 SEC 내부의 암호자산에 대한 시각도 이전과 상당히 달라졌습니다. 겐슬러 전 위원장 시절에는 규제를 통한 강력한 단속(enforcement)에 중점을 두었지만 , 앳킨슨 신임 위원장 체제에서는 명확한 가이드라인 수립과 업계와의 소통을 중시하는 기조로 선회하고 있습니다  . 예를 들어, 앳킨슨 위원장은 취임과 동시에 디지털 자산의 증권 여부를 판별하는 “토큰 테스트” 제정 등에 속도를 낼 것으로 전망되며 , 이를 통해 합법적인 암호화폐 상품에 대해선 적극적으로 자본시장 접근을 허용하려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투자자 보호와 혁신 장려의 균형을 맞추겠다는 의지로 읽히며, 암호화폐 업계 입장에서는 환영할 만한 변화입니다.
또한 SEC의 정책 우선순위에도 변화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2024년 말부터 2025년 초까지 SEC는 여러 새로운 암호화폐 ETF 기능들을 단계적으로 허용해왔습니다. 2024년 9월에는 비트코인 현물 ETF에 대한 옵션 거래 상장을 승인하였고, 이어 2025년 4월 9일에는 이더리움 현물 ETF에 대한 옵션거래도 승인했습니다 . 옵션 시장을 열어준 것은 현물 ETF가 성공적으로 정착되었다고 SEC가 판단했음을 보여주며, 한 걸음 더 나아가 스테이킹과 인카인드 환매(현물 자산으로 상환) 같은 추가 기능도 검토 테이블에 올린 상태입니다  . 실제로 SEC는 2025년 2~3월에 걸쳐 **그레이스케일(Grayscale)**의 이더리움 신탁 ETF 두 종(ETHE, ETH Mini)에 스테이킹을 허용할지 여부를 공식 검토하기 시작했고, 4월 14일에는 관련 결정을 6월 1일까지 연기한다고 발표했습니다  . 같은 시기 VanEck과 WisdomTree 등이 신청한 인카인드 환매 허용 여부도 함께 연기되었는데, 이 모두 규정 변경에 대한 신중한 검토를 거치는 과정으로 볼 수 있습니다  . SEC는 “다른 국가의 사례가 있다 하더라도 우리 나름의 속도로 판단할 것”이라는 입장으로 , 캐나다나 유럽처럼 이미 스테이킹 ETF가 허용된 시장을 참고는 하되 정책 결정은 독자적 기준에 따라 내리겠다는 태도입니다 . 이는 내부 분위기가 우호적으로 바뀌었다고 해서 절차를 생략하거나 졸속으로 진행하지는 않을 것임을 시사합니다. 다만 앳킨슨 위원장 취임이라는 변화가 생긴 만큼, SEC가 더 이상 불필요한 지연을 하지 않고 시장 요구에 빠르게 반응할 가능성은 높아졌습니다  . SEC 내부 관계자들도 “과거에는 안 해주던 것을 이제는 해줄 수도 있다”는 기대를 내비치고 있으며, 이는 스테이킹 ETF에 대한 조기 승인 낙관론의 근거가 되고 있습니다.
정리하면, SEC의 내부 기류는 2024년까지의 소극적·보수적 태도에서 2025년 들어 상당히 개방적이고 기민한 방향으로 선회했습니다. 다수의 암호화폐 ETF 승인 사례가 누적되고 규제 경험이 쌓이면서, SEC도 이전보다 자신감 있게 새로운 유형의 상품을 허용할 여건이 마련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정책 방향 변화는 이더리움 스테이킹 ETF 승인 가능성을 한층 높여주는 배경 요인입니다.
ETF 전문가와 업계 분석가 의견
ETF 전문 분석가들과 업계 관측통들 역시 이더리움 스테이킹 ETF 승인 시기에 대해 다양한 전망을 내놓고 있습니다. **블룸버그 인텔리전스(Bloomberg Intelligence)**의 제임스 세이프파트 애널리스트는 옵션 거래 승인이 나온 직후인 2025년 4월 9일 견해를 밝혔는데, **“이론적으로 5월에도 승인이 가능하나, 최종 기한은 2025년 10월 말”**이라고 언급했습니다 . 그는 “조기 승인될 수도 있지만, 최종 마감시한은 10월 말이며, 그 전에 5월 말과 8월 말에 중간 결정시한이 있다”라고 설명했습니다 . 실제로 SEC가 설정한 **첫 결정시한은 5월 말(5월 26~27일 경)**이고, 이번에 이를 6월 1일로 연기한 상태입니다  . 세이프파트의 의견은 일정상 5월 말에 승인하는 시나리오도 배제할 수는 없지만, 기본적으로는 SEC가 충분한 시간을 사용할 것으로 보는 시각입니다.
또 다른 블룸버그 수석 ETF 애널리스트인 에릭 발츄나스도 2025년 암호화폐 ETF 시장에 대해 **“역대급으로 바쁜 한 해”**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 승인 대기 중인 상품군이 비트코인, 이더리움은 물론 솔라나, 리플(XRP), 심지어 도지코인과 특정 테마코인까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SEC가 사실상 매달 새로운 결정을 내릴 가능성이 있다는 것입니다 . 발츄나스는 SEC가 1월에 비트코인·이더리움 복합 ETF를 이례적으로 빨리 승인한 것에 주목하며, 이는 새 지도부하에서 SEC의 판단 속도가 빨라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평가했습니다 . 다만 한편으로 그는 이러한 신속 승인 사례를 새 SEC 체제의 신호로 과대해석하지 않으려 한다며, 실제 정책 변화인지는 지켜봐야 한다는 신중론도 덧붙였습니다 .
업계 내에서는 ETF에 스테이킹이 도입되면 투자자 유입이 늘어날 것이라는 긍정론이 높습니다. 이더리움 현물 ETF들은 출시 이후 현재까지 약 70억 달러 규모의 자금이 유입되었는데, 이는 같은 기간 비트코인 ETF에 들어간 자금(350억 달러)의 1/5 수준입니다 . 전문가들은 그 원인 중 하나로 이더리움 ETF에 스테이킹 수익이 없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습니다. 만약 SEC가 스테이킹을 허용해준다면 ETF의 투자매력이 크게 상승하여 이더리움 시장에도 더 많은 기관자금이 들어올 수 있다는 전망입니다  . 블랙록을 비롯한 자산운용사들도 공통적으로 “스테이킹 도입 시 투자자 관심 제고”를 기대하고 있어 , SEC가 긍정 결정을 내릴 경우 즉각적인 상품 업그레이드와 마케팅에 나설 것으로 보입니다.
반면 SEC의 보수적 속성을 감안하여 지나친 낙관은 이르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세이프파트 애널리스트는 다른 국가의 사례(예: 캐나다의 스테이킹 ETF 허용 등)가 있더라도 “SEC는 남들이 한다고 보조를 맞추지 않고 자기 페이스대로 갈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 즉, 설령 내부적으로 친화적 분위기가 형성되어도 법률적, 기술적 검토를 거쳐 충분한 준비가 됐다고 판단될 때까지 결정을 미룰 수 있다는 뜻입니다. 실제로 SEC가 4월에 스테이킹 결정 시한을 연기한 것 또한 추가 의견수렴과 검토를 위한 절차였으며, 이를 두고 업계 일부에서는 “최종 승인까지 몇 달 더 걸릴 것”이라는 예상도 나옵니다. 그렇지만 이러한 신중론조차 2024년 이전의 완강한 반대 기류에 비하면 크게 누그러진 것입니다. 이제 논의의 초점은 “과연 승인해줄 것인가”에서 “언제 승인해줄 것인가”로 옮겨왔고, 시기의 문제일 뿐 결국 승인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는 점에서 분위기는 확연히 달라졌습니다.
결론: 5월 조기 승인 가능성에 대한 평가
2025년 5월 중 이더리움 스테이킹 ETF의 조기 승인 가능성은 한층 높아진 상태지만, 100% 낙관하기에는 남은 변수도 있다고 정리할 수 있습니다. 최근 1년 사이 SEC는 비트코인 및 이더리움 현물 ETF를 잇달아 승인하며 암호화폐 ETF 시대의 개막을 알렸고, 경우에 따라서는 45일만에 승인을 내리는 파격적인 속도도 보여주었습니다  . 이는 유사 사례가 구축되면 SEC가 빠르게 움직일 수 있음을 의미하며, 이미 현물 이더리움 ETF가 정착된 만큼 스테이킹 ETF로의 진화도 선례만 마련되면 급물살을 탈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또한 정책 입안자들의 성향 변화(친암호화폐 인사인 베센트 재무장관과 앳킨슨 SEC 위원장 취임)로 규제 환경이 우호적으로 바뀌었고  , SEC 내부에서도 혁신 수용과 절차 간소화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습니다  . 거대 자산운용사인 블랙록의 적극적인 참여와 래리 핑크의 긍정 발언들은 이러한 승인 압력을 더욱 높이고 있으며, 시장에서는 스테이킹 기능 도입이 ETF 성공에 필수적이라는 인식이 확산되었습니다  . ETF 전문가들의 견해도 “초기 승인 가능성은 충분히 열려 있다” (세이프파트) 와 “올해 다수의 암호화폐 ETF가 나올 것” (발츄나스)  등 대체로 낙관적인 전망에 무게가 실립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구체적으로 5월에 조기 승인될지 여부는 아직 확실하지 않습니다. SEC가 4월 중순 스테이킹 결정 기한을 6월초로 연기한 사실은, 설령 긍정 기조라 하더라도 법적 검토와 시장준비를 철저히 하고 움직이겠다는 의도로 해석됩니다  . 이는 조기 승인을 배제한다기보다는 최종 결정 전에 한 차례 더 시간을 갖겠다는 신호로 볼 수 있으며, 따라서 5월 말까지 SEC가 업계 의견을 수렴한 뒤 6월 초에 승인 여부를 결정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세이프파트 분석가가 언급했듯이 최종 마감시한은 10월 말이므로 , SEC 입장에서는 굳이 5월에 서두르지 않아도 되지만, 앳킨슨 체제의 SEC가 친화적 제스처를 조기에 보여줄 전략적 선택을 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종합적으로 볼 때, 2025년 5월 이더리움 스테이킹 ETF 조기 승인에 대한 전망은 “신중한 낙관”으로 요약됩니다. 긍정 요소(신속 승인 선례, 친화적 인사, 블랙록 압력, 우호적 분위기 등)들이 과거보다 크게 늘어난 만큼 조기 승인 시나리오에 무게가 실리지만, SEC의 특성상 최종 결정까지 절차를 준수하며 갈 것이라는 점에서 몇 주 정도의 연기나 추가 검토는 충분히 예상됩니다. 업계와 투자자들은 5월 말에서 6월 초 사이에 나올 SEC의 중간 결정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으며, 이때 긍정적인 신호(예: 조건부 승인 또는 추가 논의 일정 공표)가 나온다면 사실상 조기 승인이 현실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 반대로 만약 또다시 연기된다 해도 10월 최종시한 전에 승인될 것이라는 기대는 여전히 유효하며, 이는 가격시장에도 이미 상당 부분 반영되고 있습니다. 결국 SEC의 내부 기조 변화와 시장 여건을 감안하면 이더리움 스테이킹 ETF의 승인은 시간문제이며, 5월 조기 승인 역시 충분히 가능성이 있다고 평가할 수 있습니다.
출처: 최신 Bloomberg, CoinDesk, Reuters, 등 신뢰도 높은 매체 보도 및 전문가 발언을 참고하여 작성 (2025년 4월 기준). 주요 내용 출처는 각주로 표기했습니다. 
https://x.com/real_nabakgood?s=21
CoinAIAI-AI 코인미주 분석
CoinAIAI는 AI가 코인과 미주 분석해주는 서비스 입니다. 차트기반 정보 + SNS 지표 등 각종 정보를 통해 내가 투자한 코인과 미주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 기반으로 확인해 보세요!
t.me
'경제관련 끄적끄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지털 달러 시대의 그림자 경제〉 - 익명성의 종말과 결제 메타 코인의 기회 (3) | 2025.04.26 |
---|---|
🪙 [특집] 이더리움 스테이킹 ETF – 언제 가능할까? 왜 중요한가! (1) | 2025.04.21 |
[시리즈 #14] 인플레이션 끝나지 않은 게임 – 원자재 슈퍼사이클의 부활? (1) | 2025.04.19 |
[시리즈 #13] 파월은 왜 금리를 내리지 않는가 – 인플레, 정치, 그리고 시장의 시간차 (2) | 2025.04.18 |
[시리즈 #12] “달러를 둘러싼 이중 전략 – 트럼프는 약달러를 말하고, 베센트는 강달러를 설계한다” (2) | 2025.04.16 |